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컴포넌튼
- 1px border
- entity
- Strict
- &연산
- 당근마켓
- 타입스크립트
- 전역변수
- 0.75px border
- 0.25px border
- jwt
- 문서번호
- github
- ES5
- literal
- Websocket
- 데이터베이스 #try #이중
- es6
- 으
- font-size
- 0.5px border
- 서버리스 #
- TypeScript
- Props
- 10px
- 클론코딩
- npm
- angular
- ZOOM
- TS
Archives
- Today
- Total
복잡한뇌구조마냥
[Spring] 스프링 부트 생성 본문
프로젝트 생성
1.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 이동
2. 스타터 설정
- 프로젝트 설정
- Gradle - Groovy: 전통적으로 Gradle은 Groovy 기반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많은 기존 프로젝트가 Groovy를 사용하여 작성되어 있으며, Groovy의 동적 타입 특성 덕분에 유연한 스크립팅이 가능합니다.
- Gradle - Kotlin: Kotlin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은 Gradle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정적 타입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컴파일 시점에 에러를 잡을 수 있고 IDE의 코드 완성기능이 더 뛰어난 이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Kotlin DSL은 Kotlin 언어의 장점을 살려 좀 더 현대적인 스타일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Groovy는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방법이므로 많은 레퍼런스가 존재하고, Kotlin DSL은 더 정교하고 안전한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의에서 특정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면, 해당 강의 진행 방식에 맞춰 Gradle - Groovy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스프링 부트 버전 ( SNAPSHOT 이나 추가적인 문구가 적힌 부분은 정식 배포가 아님 )
- 그룹 : 도메인 적으면 될 듯
- Artifact나 Name도 결과물에 대한 작성이니 필요에 따라 작성
3. Dependencies 설정
- 검색을 통해서 작
4. 하단 Generate 를 통해서 생성
5. 설치된 파일 압축 해제 및 프로젝트 열기
- build.gradle을 선택해서 프로젝트 열기
7. 프로젝트 동기화
- 라이브러리나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하므로 동기화 해줘야 정상적으로 실행 가능
8. 빌드 테스트
- main에서 파일 실행시켜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음.
9. HTTP 환경 확인
- 기본 포트가 8080으로 설정되어 있음
- http://localhost:8080 나 http://127.0.0.1:8080 를 주소창에 작성해서 입장하면 이미지처럼 뜨는지 확인하면 완료.
LIST
'BE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JPA] 인프런 김영한님 커리큘럼 (2) | 2025.06.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