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뇌구조마냥

[Spring] 스프링 부트 생성 본문

BE/Spring

[Spring] 스프링 부트 생성

지금해냥 2025. 6. 18. 18:17

프로젝트 생성

1.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 이동

https://start.spring.io/

 

2. 스타터 설정

  • 프로젝트 설정
    1. Gradle - Groovy: 전통적으로 Gradle은 Groovy 기반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많은 기존 프로젝트가 Groovy를 사용하여 작성되어 있으며, Groovy의 동적 타입 특성 덕분에 유연한 스크립팅이 가능합니다.
    2. Gradle - Kotlin: Kotlin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은 Gradle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정적 타입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컴파일 시점에 에러를 잡을 수 있고 IDE의 코드 완성기능이 더 뛰어난 이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Kotlin DSL은 Kotlin 언어의 장점을 살려 좀 더 현대적인 스타일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Groovy는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방법이므로 많은 레퍼런스가 존재하고, Kotlin DSL은 더 정교하고 안전한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의에서 특정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면, 해당 강의 진행 방식에 맞춰 Gradle - Groovy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스프링 부트 버전 ( SNAPSHOT 이나 추가적인 문구가 적힌 부분은 정식 배포가 아님 )
  • 그룹 : 도메인 적으면 될 듯
  • Artifact나 Name도 결과물에 대한 작성이니 필요에 따라 작성

 

3. Dependencies 설정

- 검색을 통해서 작

4. 하단 Generate 를 통해서 생성

 

5. 설치된 파일 압축 해제 및 프로젝트 열기

- build.gradle을 선택해서 프로젝트 열기

 

7. 프로젝트 동기화

- 라이브러리나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하므로 동기화 해줘야 정상적으로 실행 가능

 

8. 빌드 테스트

- main에서 파일 실행시켜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음.

 

9. HTTP 환경 확인

- 기본 포트가 8080으로 설정되어 있음

- http://localhost:8080 나 http://127.0.0.1:8080 를 주소창에 작성해서 입장하면 이미지처럼 뜨는지 확인하면 완료.

LIST

'BE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JPA] 인프런 김영한님 커리큘럼  (2)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