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타입스크립트
- font-size
- 당근마켓
- npm
- ZOOM
- &연산
- github
- 1px border
- entity
- Websocket
- 클론코딩
- 0.25px border
- TS
- 10px
- Strict
- 서버리스 #
- angular
- 전역변수
- 0.75px border
- jwt
- TypeScript
- 문서번호
- 데이터베이스 #try #이중
- literal
- es6
- 0.5px border
- Props
- 으
- ES5
- 컴포넌튼
Archives
- Today
- Total
복잡한뇌구조마냥
[CS] IGP와 EGP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정리 본문
📘 1.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끼리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규약(Protocol)
🧭 2.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분
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IGP와 EGP로 나뉜다.
| 구분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 의미 |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
| 범위 | 조직 내부 네트워크 | 조직 간 네트워크 (ISP 간 등) |
| 관리 주체 | 한 조직(회사, 기관 등) | 여러 조직(인터넷 사업자 등) |
| 대표 프로토콜 | RIP, OSPF, EIGRP, IS-IS | BGP |
| 경로 계산 방식 | 거리·링크 상태 기반 | 정책 기반 (Policy-based) |
| 특징 | 빠른 수렴, 내부 최적화 | 규모가 크고 안정성 중시 |
🧱 3.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주요 프로토콜 종류
| 프로토콜 | 유형 | 특징 |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 - 홉 수(Hop Count)를 기준으로 경로 결정 - 최대 15홉까지 가능 - 단순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부적합 |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링크 상태(Link State) | - 링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최단 경로 계산 (Dijkstra 알고리즘)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효율적 - 수렴 속도가 빠름 |
| EIGRP (Enhanced IGRP) | 하이브리드(Hybrid) | - Cisco 고유 프로토콜 - 거리 벡터 + 링크 상태 혼합 방식 |
|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 링크 상태(Link State) | - OSPF와 유사하지만 주로 ISP 내부망에서 사용됨 |
💡 핵심 요약:
IGP는 “내부 통신 최적화” 목적이며, RIP → OSPF → EIGRP/IS-IS 순으로 발전했다.
🌍 4.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AS)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주요 프로토콜
| 프로토콜 | 특징 |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EGP - 정책 기반 라우팅(Policy-based Routing) - 홉 수보다 **정책·경로 속성(Attribute)**을 기준으로 경로 결정 - 대규모 인터넷 환경에 적합 |
| EGP (초기 버전) | - 초창기 인터넷에서 사용되던 프로토콜 - 현재는 BGP로 완전히 대체됨 |
💡 핵심 요약:
EGP는 “인터넷 전체를 잇는 라우팅”, BGP가 사실상 표준이다.
⚖️ 5. IGP vs EGP 요약 비교
| 구분 | IGP | EGP |
| 의미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
| 적용 범위 | 자율 시스템 내부 | 자율 시스템 간 |
| 대표 프로토콜 | RIP, OSPF, EIGRP, IS-IS | BGP |
| 경로 결정 기준 | 거리·링크 상태 | 정책 기반 |
| 사용 목적 | 내부 네트워크 효율화 | 대규모 인터넷 연결 |
| 관리 주체 | 단일 조직 | 여러 조직(인터넷 사업자 등) |
🚀 6. 정리 요약
- 라우팅 프로토콜은 IGP와 EGP로 나뉜다.
- IGP는 내부망 효율화(조직 내 최단 경로 탐색),
EGP는 외부망 연결(인터넷 규모의 정책 기반 경로 설정). - BGP는 현재 유일하게 사용되는 EGP로,
전 세계 인터넷 라우팅을 사실상 담당한다.
💬 한 줄 요약:
“조직 내부는 IGP, 조직 간은 EGP — 인터넷의 길잡이는 BGP!”
LIST
'공통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 접근 통제(Access Control) 유형 정리 + 3A (0) | 2025.11.09 |
|---|---|
| [CS] CUI / GUI / NUI / OUI 정리 — 유저 인터페이스 (+ 터치 제스처) (0) | 2025.11.01 |
| [CS]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 기법 (0) | 2025.11.01 |
| [CS] 응집도(Cohesion)와 결합도(Coupling) 정리 (0) | 2025.10.31 |
| [CS]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1 뷰 모델 정리 (0)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