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뇌구조마냥

[CS] IGP와 EGP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정리 본문

공통/CS

[CS] IGP와 EGP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정리

지금해냥 2025. 11. 7. 00:08

📘 1.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끼리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규약(Protocol)


🧭 2.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분

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IGPEGP로 나뉜다.

구분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의미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범위 조직 내부 네트워크 조직 간 네트워크 (ISP 간 등)
관리 주체 한 조직(회사, 기관 등) 여러 조직(인터넷 사업자 등)
대표 프로토콜 RIP, OSPF, EIGRP, IS-IS BGP
경로 계산 방식 거리·링크 상태 기반 정책 기반 (Policy-based)
특징 빠른 수렴, 내부 최적화 규모가 크고 안정성 중시

🧱 3.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주요 프로토콜 종류

프로토콜 유형 특징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 홉 수(Hop Count)를 기준으로 경로 결정
- 최대 15홉까지 가능
- 단순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부적합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링크 상태(Link State) - 링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최단 경로 계산 (Dijkstra 알고리즘)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효율적
- 수렴 속도가 빠름
EIGRP (Enhanced IGRP) 하이브리드(Hybrid) - Cisco 고유 프로토콜
- 거리 벡터 + 링크 상태 혼합 방식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링크 상태(Link State) - OSPF와 유사하지만 주로 ISP 내부망에서 사용됨

💡 핵심 요약:
IGP는 “내부 통신 최적화” 목적이며, RIP → OSPF → EIGRP/IS-IS 순으로 발전했다.


🌍 4.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서로 다른 자율 시스템(AS)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 주요 프로토콜

프로토콜 특징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EGP
- 정책 기반 라우팅(Policy-based Routing)
- 홉 수보다 **정책·경로 속성(Attribute)**을 기준으로 경로 결정
- 대규모 인터넷 환경에 적합
EGP (초기 버전) - 초창기 인터넷에서 사용되던 프로토콜
- 현재는 BGP로 완전히 대체됨

💡 핵심 요약:
EGP는 “인터넷 전체를 잇는 라우팅”, BGP가 사실상 표준이다.


⚖️ 5. IGP vs EGP 요약 비교

구분 IGP EGP
의미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적용 범위 자율 시스템 내부 자율 시스템 간
대표 프로토콜 RIP, OSPF, EIGRP, IS-IS BGP
경로 결정 기준 거리·링크 상태 정책 기반
사용 목적 내부 네트워크 효율화 대규모 인터넷 연결
관리 주체 단일 조직 여러 조직(인터넷 사업자 등)

🚀 6. 정리 요약

  • 라우팅 프로토콜은 IGP와 EGP로 나뉜다.
  • IGP는 내부망 효율화(조직 내 최단 경로 탐색),
    EGP는 외부망 연결(인터넷 규모의 정책 기반 경로 설정).
  • BGP는 현재 유일하게 사용되는 EGP로,
    전 세계 인터넷 라우팅을 사실상 담당한다.

💬 한 줄 요약:
“조직 내부는 IGP, 조직 간은 EGP — 인터넷의 길잡이는 BGP!”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