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뇌구조마냥

[CS]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정리 본문

공통/CS

[CS]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정리

지금해냥 2025. 10. 30. 14:15

기업에서는 하나의 시스템만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ERP, CRM, SCM, 그룹웨어 등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운영되죠.
문제는 — 이 시스템들이 서로 다른 환경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입니다.


💡 EAI란?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기업 내 여러 독립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합하여 하나처럼 연동시키는 기술 또는 방식”

즉,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주는 통합 플랫폼이에요.


🧩 EAI의 주요 목적

목적 설명
데이터 통합 시스템 간 데이터 중복, 불일치를 최소화
업무 프로세스 연동 부서 간 업무 흐름을 자동화하여 효율화
시스템 간 연결성 확보 이기종 시스템(예: Java, SAP, Oracle 등) 간 통신 가능
유연한 확장성 신규 시스템 추가 시에도 손쉽게 연동 가능

⚙️ EAI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Adapter (어댑터) 각 애플리케이션과 EAI 허브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Broker (브로커) 데이터 변환, 라우팅, 중계 등 핵심 기능 수행
Transformation Engine 데이터 포맷 변환(JSON ↔ XML 등)
Routing Engine 목적지 시스템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
Monitoring / Management 전체 연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관리

🧱 EAI 주요 구축 방식 (4가지 구조)

방식 구조 개념 특징
1️⃣ Point-to-Point (P2P) 시스템 간 직접 연결 구축 빠르지만 시스템 많아지면 복잡도 ↑
2️⃣ Hub & Spoke 중앙 허브(EAI 서버)가 중계 관리 용이, 표준화 가능
3️⃣ Message Bus (ESB) 메시지 버스를 통해 비동기 통신 유연하고 확장성 높음
4️⃣ Hybrid 위 구조를 혼합한 형태 상황에 따라 구조 조합

📊 구조 비교 요약

방식 장점 단점
Point-to-Point 단순, 구축 속도 빠름 시스템 수 증가 시 연결선 폭발적 증가 (n² 문제)
Hub & Spoke 중앙 집중 관리, 표준화 허브 장애 시 전체 영향
Message Bus (ESB) 확장성 높고 분산 처리 가능 구현 복잡도 높음
Hybrid 상황 맞춤형 구성 가능 설계 복잡도 상승

🧠 EAI vs ESB 차이점

구분 EAI ESB
통합 대상 기업 내부 시스템 내부 + 외부 서비스까지
처리 방식 중앙 허브 중심 (동기) 메시지 버스 기반 (비동기)
아키텍처 Hub & Spoke 구조 분산형 구조
활용 예시 ERP, CRM, HR 통합 API Gateway, MSA 서비스 통합

💬 요약하자면
EAI = 기업 내부 통합 중심
ESB = 서비스 간 확장형 통합


🧩 EAI 구축 시 고려사항

  1. 데이터 표준화 (공통 포맷 설계)
  2. 보안 및 인증 체계 구축
  3. 장애 대응 및 모니터링 체계
  4. 실시간 vs 비실시간 연동 전략
  5. 확장성 & 유지보수성 고려

✅ 정리 요약

항목 설명
EAI 기업 내부 애플리케이션 간 통합 기술
핵심 기능 데이터 변환, 라우팅, 중계, 모니터링
대표 구조 Point-to-Point, Hub & Spoke, Message Bus, Hybrid
유사 기술 ESB(Enterprise Service Bus) — 서비스 기반 확장형 통합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