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0.25px border
- TS
- 당근마켓
- ES5
- &연산
- Strict
- 서버리스 #
- 10px
- 컴포넌튼
- entity
- Props
- 전역변수
- 데이터베이스 #try #이중
- npm
- github
- 타입스크립트
- TypeScript
- Websocket
- 으
- literal
- 0.5px border
- 문서번호
- 1px border
- jwt
- font-size
- es6
- 0.75px border
- 클론코딩
- angular
- ZOOM
Archives
- Today
- Total
복잡한뇌구조마냥
[CS] CUI / GUI / NUI / OUI 정리 — 유저 인터페이스 (+ 터치 제스처) 본문
컴퓨터는 인간과 소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를 사용합니다.
즉, 사람이 명령을 내리고 결과를 확인하는 창구를 뜻하죠.
UI의 목적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 작업 수행의 편의성 제공
-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 방법 제공
- 사용자 경험(UX) 향상
이 인터페이스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래처럼 발전해왔습니다 👇
🧱 CUI → GUI → NUI → OUI
🧩 1️⃣ CUI (Character User Interface)
문자 기반 인터페이스
| 항목 | 설명 |
| 정의 | 명령어(Command)를 텍스트로 입력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 |
| 입력 수단 | 키보드 (명령어 직접 입력) |
| 대표 예시 | MS-DOS, UNIX 터미널, Command Prompt(cmd), Linux Shell |
| 장점 | 시스템 자원 소모 적음, 자동화/스크립트 작성 용이 |
| 단점 | 명령어를 외워야 함, 직관성이 낮음 |
📘 예시
> cd documents
> mkdir project
> rm -rf temp
🧠 요약
빠르고 가볍지만, 전문가 중심의 환경
🪟 2️⃣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 항목 | 설명 |
| 정의 | 마우스, 터치 등을 이용해 그래픽 요소(아이콘, 버튼) 로 컴퓨터를 제어 |
| 입력 수단 | 마우스, 터치, 키보드 |
| 대표 예시 | Windows, macOS, Android, iOS |
| 장점 | 직관적, 배우기 쉬움, 시각적 피드백 우수 |
| 단점 | 자원 소모 큼, 복잡한 작업은 비효율적 |
🧠 요약
대중화의 핵심, 컴퓨터를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 GUI 예시 (Windows)
🗂️ 파일 탐색기
🖱️ 클릭, 드래그, 아이콘, 메뉴
📊 시각적 피드백 중심
✋ 3️⃣ NUI (Natural User Interface)
자연스러운 동작으로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항목설명
| 항목 | 설명 |
| 정의 | 사람의 자연스러운 행동(제스처, 음성, 시선) 으로 기기를 제어 |
| 입력 수단 | 터치, 음성 인식, 제스처, 시선 추적 |
| 대표 예시 | 스마트폰 터치 제스처, Siri / Google Assistant, Kinect, VR/AR |
| 장점 | 직관적, 몰입감 높음, 사용자 경험(UX) 향상 |
| 단점 | 인식 오류 가능성, 복잡한 동작 구현 어려움 |
🧠 요약
‘배우지 않아도 쓸 수 있는 인터페이스’
— 인간의 감각과 행동을 중심으로 설계된 UI
📸 예시
- 두 손가락으로 확대/축소 (멀티 터치)
- “OK Google”, “Hey Siri”
- 손동작으로 TV 제어

🧠 4️⃣ OUI (Organic User Interface)
기기의 형태나 환경 자체가 인터페이스가 되는 개념
항목설명
| 정의 | 디스플레이나 기기 자체가 변형·적응하여 입력/출력 장치로 작동하는 인터페이스 |
| 입력 수단 | 접힘, 휨, 물리적 형태 변화, 공간 인식 |
| 대표 예시 | 접는 스마트폰(Foldable Phone), 곡면 디스플레이, 스마트 미러, IoT 센서 UI |
| 장점 | 물리적 제약 최소화, 환경 적응형 UI 가능 |
| 단점 | 구현 복잡, 고비용, 표준화 어려움 |
🧠 요약
기기 자체가 인터페이스가 되는 미래형 UI
📸 예시
- Galaxy Z Fold (접으면 UI 자동 변환)
- 자동차 HUD (유리 자체가 인터페이스 역할)
- IoT 센서 기반 스마트홈 제어
📈 5️⃣ 인터페이스 발전 흐름 요약
| 구분 | 주요 입력 | 대표 기술 | 사용자 경험 |
| CUI | 텍스트 입력 | 명령어 | 전문가 중심 |
| GUI | 그래픽 + 클릭 | 윈도우, 마우스 | 대중화 |
| NUI | 제스처, 음성, 터치 | 스마트폰, AI 비서 | 직관적 |
| OUI | 환경/형태 인식 | IoT, 폴더블 디바이스 | 몰입형, 유기적 |
📊 흐름
CUI ─→ GUI ─→ NUI ─→ OUI
(명령어) (그래픽) (자연스러움) (환경 융합)
💡 6️⃣ 면접/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포인트
| 질문 핵심 | 답변 요약 |
| CUI와 GUI의 차이점은? | CUI는 텍스트 명령 기반, GUI는 그래픽 기반 |
| GUI의 장점은? | 직관적, 사용자 친화적, 피드백 명확 |
| NUI의 대표 예시 | 터치 제스처, 음성 인식, 시선 제어 |
| OUI는 어떤 개념인가? | 기기 자체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차세대 UI |
| 기술 발전 방향은? | “명령”에서 “자연스러움”을 넘어 “환경과의 융합”으로 진화 |
✍️ 마무리
💬 CUI → GUI → NUI → OUI
명령 기반 → 그래픽 기반 →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 환경 융합형 인터페이스
UI의 발전은 단순히 기술의 변화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UX)을 더 자연스럽게 만드는 과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https://m.blog.naver.com/dongwoo0313/222528780139
모바일 UX 기획자를 위한 9가지 터치 제스처 총정리(탭부터 핀치, 로테이트까지 기본 제스처를 정
가장 기본적인 9가지 모바일 터치 제스처 (탭, 더블탭, 프레스, 플릭, 스와이프, 팬, 드래그, 핀치, 로테이...
blog.naver.com
LIST
'공통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 IGP와 EGP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정리 (0) | 2025.11.07 |
|---|---|
| [CS]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 기법 (0) | 2025.11.01 |
| [CS] 응집도(Cohesion)와 결합도(Coupling) 정리 (0) | 2025.10.31 |
| [CS] UML 정리 (다이어그램 종류, 관계, 표기법 등) (0) | 2025.10.30 |
| [CS]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정리 (0) | 2025.10.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