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데이터베이스 #try #이중
- ZOOM
- 당근마켓
- 컴포넌튼
- entity
- &연산
- 으
- npm
- 전역변수
- TypeScript
- font-size
- es6
- literal
- github
- TS
- jwt
- 0.5px border
- 클론코딩
- 타입스크립트
- Websocket
- Props
- 서버리스 #
- ES5
- 0.75px border
- 10px
- Strict
- angular
- 0.25px border
- 1px border
- 문서번호
- Today
- Total
복잡한뇌구조마냥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2025년 정기 기사 3회차) 본문
1. 📅 시험 개요

- 시험일자: 2025년 11월 8일 (토)
- 시험장: (원주) 상지대학교 동악관
- 응시 회차: 2025년 제3회
- 시험시간: 09:30 ~ 12:00 (2시간 30분) - 10:30 부터 퇴실 가능 + 11:30 부터 화장실 가능
- 응시 형태: 필답형
💡정보
- 준비물 : 신분증, 검정색 볼펜, 수정테이프, 수험표
(안내해주시는 분께 여쭤보니까 신분증 있으면 수험표 없어도 시험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시험지에 풀이과정 적는 부분이 따로 있어서 연습지 필요 X
- 공학용 계산기도 사용가능으로 알고있는데, 주위를 봤을 땐 거의 안쓰는 것 같았습니다. (저도 필요 없다고 느낌)
- 같은 강의장에서 다른 기사 시험도 같이 보는 것 같았음 ( ※ 시험 시간이 달라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필요 )
- 필기 -> SQLD -> 실기 순으로 시험을 응시 했던게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2. 📖 공부 방법 & 준비 과정

- 교재/자료: 2025 수제비 Final 실전 모의고사 (main 교재로 활용) + 필기 기본서 + 실기 기본서 + Quizlet
- 공부 기간: 약 3주 (평일 2~3시간, 주말 집중)
- 책은 일찍 샀는데, 부트캠프 프로젝트 일정과 겹쳐서 실제 공부 기간은 10/18 ~ 11/7
- 학습 순서:
- 기출 복습: 최근 5개년 문제 분석
- 코드 문제: C, JAVA, Python 코드보고 기본적인 해석은 가능해야함
- 직접 과정 손으로 써보고 값 돌아가는 원리를 확실히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코드는 수학처럼 규칙만 잘 알면 반복 패턴이라 한번 공부해두면 편함
- 출력, 정의, 조건문, 반복문, 사칙연산, 비트연산, 포인터 등 기본적인 기능만 완벽하게 알면 좀 편하게 해석됨
- 1개 언어만 확실히 공부하면 나머지 언어도 동작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해가 쉬움 (C부터 공부 추천)
- SQL 문제: SQLD 공부하면서 봤던게 도움이 많이 됨. 기본적인 SQL은 알아야함
- 핵심 암기: 기본적으로 아래 내용은 완벽하게 알아야한다고 생각함
- 디자인 패턴, EAI, 응집도, 결합도
- UML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 관계 등)
- 테스트(블랙박스, 화이트박스, 오라클, 커버리지 등)
- DB (설계, 정규형, 관계 대수, 관계 해석, 트랜잭션, 무결성, SQL 작성 방법 등)
- 네트워크 계층 ( + 네트워크 동작 원리, VPN, ARP 등 용어 정리 )
- 접근통제 (DAC, MAC, RBAC)
- 프로세스 스케줄링 (페이지부재, 비선점형, 선점형 등 )
- 대칭, 비대칭, 해시 등
- 서술형 대비: 키워드 중심 요약 (예: “트랜잭션 ACID”, “EAI 포허메하”, “정규형 도부이결다조”, “4+1뷰 유논프구배” 등)
- Quizlet을 이용해서 개념 내용보면 바로 답이 튀어나올 수 있도록 공부했습니다. (디자인 패턴, 결합도, 응집도 등)
💡 TIP
- 기본서보다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 이론 공부보다 문제 경험이 더 중요!!
- 수제비 Final 모의고사 교재가 답지랑 문제지랑 분리가 안되서 잘라서 분리했습니다. (강추!!) - 가능하면 제본하는게...
- 필기 공부할 때, 기본서를 제대로 공부했던게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아는 문제는 무조건 맞추고 버릴 문제는 버리자 마인드로 접근했습니다.
- 계산문제는 유형별 공식을 정리하고, 최대한 문제를 많이 풀어보려고 했습니다.
- 서술형은 키워드를 외워두면 효율적입니다.
[ 8문제 틀려도 합격 - 너무 완벽하게 하지 말자 (최대한 효율적으로!!) ]
3. ✏️ 시험 당일 후기
- 전반 난이도: 쉬움 / 예상보다 기출 문제가 많았음
- 출제 비중:
- 프로그래밍 언어 비중이 가장 높음 (40%)
→ C, Java, Python 모두 등장. 코드 해석 및 결과 예측형 다수. - SQL / DB 20%
→ COUNT, LIKE, DIVISION, 카디널리티 등 계산형 문제 위주. - 보안·운영체제 계열 25%
→ OTP, OAuth, 접근통제, UNIX 명령, 오류검출 등 전통 이론형. - 테스트/품질관리 영역은 10%
→ 커버리지/테스트케이스 구성 등 이론형. - 요구사항 분석/UML은 5% 수준
→ 패키지 다이어그램 1문제만 출제.
- 프로그래밍 언어 비중이 가장 높음 (40%)
- 복원 문제 & 정답 정리 (가채점 결과 83점)
⚠️ 원문 문제는 큐넷 저작권으로 직접 공개 불가하므로,
기억에 근거한 요약/복원 버전으로 작성했습니다.
| 번호 | 주요 주제 | 복원 문제 요약 | 정답 / 핵심 키워드 | 간단 풀이 / 설명 |
| 1 | UML | 유스케이스·클래스 모델을 묶어 의존관계 표현하는 다이어그램 (<<import>>, <<export>> 스테레오타입 사용) | 패키지 | 시스템 구성요소를 패키지 단위로 구조화 |
| 2 | 테스트 커버리지 | 각 조건식이 참·거짓을 최소 1회 수행되도록 하는 테스트 | 조건 커버리지 (Condition Coverage) | 결정 커버리지보다 세분화된 단위 테스트 기법 |
| 3 | UNIX | ①현재 경로 ②파일 목록 ③이동 ④복사 명령어 | pwd, ls, cd, cp | 기초 유닉스 명령어 문제 |
| 4 | 오류검출방식 | 오류검출 및 정정 방식 구분 | Hamming / FEC / BEC / Parity / CRC (Parity랑 Hamming반대로 써서 틀림) |
CRC는 검출만, Hamming은 정정 가능 |
| 5 | C언어 구조체 | printf("%s", p->g + (p->i - 1)); 결과 출력 | C (CD1 써서 틀림) |
test[1]의 g는 "DC", i=2 → g+(1)="C" |
| 6 | C문자배열 | 문자열 끝에서 두 번째 문자 출력 | E | “REPUBLICOFKOREA” 길이=14 → a-2=12번째=E |
| 7 | C 포인터 구조체 | Linked List 순회 후 XOR 연산 | 187 (187u 써서 틀림) |
계산: (11×9+7)×3+5 = 245 → (245 ^ 42)+100=187 |
| 8 | Java Interface | interface Person {} 구현 클래스 선언 | implements | 클래스 선언 시 class A implements Person {} |
| 9 | Python 리스트 | 리스트의 합계와 길이를 딕셔너리에 저장 | ①15,②5,③10,④3,⑤18,⑥5,⑦9,⑧2 | sum() + len() 조합 문제 |
| 10 | SQL LIKE + CROSS JOIN | S%, %T% 패턴으로 LIKE 필터링 | 4 | SMITH(2), SCOTT(2) 총 4행 |
| 11 | 보안 | 1회용 비밀번호 개념 | OTP | 해시 기반 일회성 토큰 |
| 12 | Java 상속 | 자식 클래스 생성자에서 부모 생성자 호출 | super (클래스명 써서 틀림) |
super()로 부모 생성자 호출 |
| 13 | 인증 | 외부 사이트 로그인 시 토큰 발급 표준 | OAuth | “로그인 위임” 인증 방식 |
| 14 | 관계대수 | R ÷ S 수행 결과 | A a1 | b1,b3 모두 가진 a1만 결과 |
| 15 | C 삼항·비트연산 | 조건식·비트연산 결과 계산 | 0 | 단계별 연산 후 최종 z=0 |
| 16 | 데이터베이스 | 릴레이션의 행 수 개념 | 튜플 / 릴레이션 인스턴스 / 카디널리티 | 행 수=카디널리티 |
| 17 | Java Enum | Enum name().length() 기반 인덱스 접근 | AB | Tri.A.name() 길이=1 → values()[1]=A |
| 18 | 접근통제 | MAC / DAC / RBAC 구분 | MAC, DAC, RBAC | 보안등급, 소유자권한, 역할 기반 차이 |
| 19 | 테스트케이스 구성 | 사전조건 / 입력데이터 / 기대결과 | 테스트조건 / 테스트데이터 / 예상결과 | 테스트 명세서 구성요소 |
| 20 | SQL COUNT | NULL 제외 조건문 결과 | 4 | col2 NOT NULL AND 조건 OR 조합 결과 4행 |
🧩 체감 난이도: 쉬움 (40분 풀고 20분 검수하고 퇴실)
기출유형에서 응용된 문제 다수, 암기보다는 이해형 출제 비중 증가
코드 문제는 무조건 반복문 따라가면서 확실하게 적어서 푸는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가능하면 암산은 절대 믿지 말자!!)
4. 💪 느낀 점 & 팁
- 가능하면 자격증은 빨리 도전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점점 공부하기 힘들어지네요..)
- 실제 시험장에서는 실수 관리가 핵심
- 시간을 조금 더 쓰더라도 확실하게 맞추고 가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 시험지 제출 전 전체 풀이과정 다시 검수, 계산하면서 놓친거나 잘못 본거 없는지 확인
- 저는 검수하면서 2문제 고쳐서 10점 확보했습니다.
5. 📚 다음 응시자에게 조언
- 기출 중심으로 80% 이상 대비 가능 (물론 다음 시험 예측을 100% 확신 불가)
- 실기 준비 시 “정처기 이론 → 실기 연계”로 정리해두면 이해가 쉬움
- 헷갈리는 부분은 블로그 요약노트로 따로 정리하면 시험 직전 복습에 유용
6. 📝 마무리
“ 필기를 공부했을 때는 대략적으로 내용을 정리했다면, 실기는 대략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과정이였습니다.”
“실기가 코드 해석해서 푸는 손코딩 같은 문제가 귀찮긴 하지만 확실히 필기보다 훨씬 푸는게 재밌었습니다.”
“결과는 아직 안 나왔지만, 시험 준비하면서 DB/네트워크/CS 지식 등을 전반적으로 정리할 수 있어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참고자료: https://nowsun.tistory.com/177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2025년 정기 기사 3회차)
📌 응시 동기컴퓨터공학과를 졸업했지만, 계속 취업 준비를 하면서 스펙이 약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회사에 다닐 때는 공부할 시간이 많지 않아 시도하지 못했는데,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해
nowsun.tistory.com
https://nowsun.tistory.com/category/%EA%B3%B5%ED%86%B5/CS
'공통/CS' 카테고리의 글 목록
nowsun.tistory.com
'공통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후기] AI TOP100 참여 후기 (0) | 2025.10.23 |
|---|---|
| [AIBE 스터디] "꽉 자바" 활동 보고서 : 알고리즘 문제 풀이 & Effective Java (2) | 2025.09.22 |
| [자격증] SQLD 후기 (2025년 3회차) (0) | 2025.08.25 |
|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2025년 정기 기사 3회차) (1) | 2025.08.20 |
| [후기] 프로그래머스 부트캠프(생성형 AI활용 백엔드 3기) 합격 (2)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