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ck 함수 호출을 통한 path 구현
- 단일 그래프 interval 방식과 tick 함수 호출 방식 비교
- 차이 발생 원인
tick 함수 호출을 통한 path 구현
참조: 블로그
- lineCarht .on(“start”, tick)을 통해서 tick() 함수 호출
- 다음 코드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 기입
-
- 다음 코드를 통해 기본 변환 행렬 초기화
-
- 다음 코드를 통해 변환 행렬 설정
-
- tick 함수 내부의 this는 함수 자신을 나타내어 this 바인딩의 대상 전환
단일 그래프 interval 방식과 tick 함수 호출 방식 비교
- interval 동작 원리
- 그래프 생성
- interval 40초 마다
- 그래프 재 작성
- 반복
- tick 동작 원리
- 그래프 생성
- tick함수 호출
- duration 40초 대기
- tick함수 재 호출
- 반복
- 동일 개체 그래프 그리기 비교

위 : interval, 아래 : tick 함수
- 동시에 시작했음에도 tick함수가 더 늦게 동작을 시작함단일 개체 CPU사용량 비교
- interval

- 평균적으로 안정적인 5%대 사용량
- tick함수

- 평균적으로 6%에 가까운 사용량
차이 발생 원인
참조 : 블로그
- angular 앱 성능 최적화를 위한 14가지 방법
- Production 모드 활성화
- AOT(Ahead Of Time)
- Minification
- 뷰에서 함수 호출 getter 피하기
- 순수 파이프
- 지연 로딩 모듈(Lazy loading modules)
- 코드 분할
- OnPush 변화 감지
- 비동기 파이프
- ngDoCheck
- 함수별 트래킹
- Zone.js
- observable 구독 취소
- Web workers
- tick함수의 경우 지속적인 getter 함수 호출로 인한 차이 발생을 원인으로 보고 있음